종가 정보

전통문화의 어제와 오늘을 이어가면서 내일을 준비하는 종가

종가 정보

  • 청주한씨 문양공종가
  • 한계미韓繼美, 1421년(세종 3)~1471년(성종 2)
    • 지역고양시
    • 제례일12월

신주

고위: 顯十九代祖考推忠佐翼精忠敵愾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輔國崇祿大夫領中樞府事西原 府院君諡文襄府君 神主 비위: 顯十九代祖妣安城郡夫人坡平尹氏 神主
  • 1. 신주
    1. 신주

홀기

문양공 기신제 진행 순서 문양공 할아버님 제사를 모시겠습니다. 헌관 이하 오늘 제사를 모시는 집사 여러분은 제자리에 계시길 바랍니다. 그럼 먼저 초헌관으로부터 강신례를 행하겠습니다. 이어서 참신례를 행하겠습니다. 제관 여러분 일동 재배 계속해서 초헌례를 행하겠습니다. 잔, 적, 수저를 정리한 후에는 독축 순서가 되겠습니다. 독축이 끝나면 초헌관만 재배하겠습니다. 이어서 아헌례를 행하겠습니다. 계속해서 종헌례를 행하겠습니다. 첨작례에는 초헌관이 행하겠습니다. 이어서 유식례를 하겠습니다. 바로 합문순서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사신례 순서를 행하겠습니다. 이어서 음복례 순서가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문양공 할아버님의 제사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1. 홀기
    1. 홀기
  • 2. 홀기2
    2. 홀기2

집사분정

문양공은 아들 3형제를 두어 초헌은 종손이 맡으며 아헌은 입한공 후손, 종헌은 목사공 후손이 맡는다.

출주축

축문

維歲次○○九月○○朔 二十三日 ○○ 十九代孫碩熙 敢昭告于 顯十九代祖考 推忠佐翼精忠敵愾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輔國崇祿大夫領中樞府事西原 府院君諡文襄府君 顯十九代祖妣 貞敬夫人封安城郡夫人坡平尹氏 歲序遷易 顯十九代祖妣 諱日復臨 百世不祧 邦有舊典 追遠報本 禮不敢忘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 1. 축문
    1. 축문

제사관련담론

- 혼례 날짜를 잡으면 기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 혼례 날짜를 잡으면 차례도 지내지 않는다. - 문양공 제례는 이런 것에 개의치 않고 지낸다. - 상갓집에 다녀오면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다. - 음력 10월 3일에는 청주한씨가 중심이 되어 산신제를 지낸다. 시묘동 산신제는 문양공 이후 이 집안이 중심이 되어 지내왔으므로 지금도 그대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