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바로가기
전통문화 사이트 바로가기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목판 아카이브
종가제례음식 아카이브
종가 정보
제물분포지도
제례동영상
사업소개
종가 정보
전통문화의 어제와 오늘을 이어가면서 내일을 준비하는 종가
종가 정보
청주한씨 문양공종가
한계미
韓繼美
, 1421년(세종 3)~1471년(성종 2)
지역
고양시
제례일
12월
종가안내
제례개요
제례절차
제물정보
진설도
고위(男)
비위(女)
시저
메
탕국
메
탕국
편
소전
잔
잔
두부전
계적
육적
어적
갈랍
포
소탕
육탕
어탕
귤
나박김치
간장
숙주나물
식해
옥춘
약과
다식
산자
사과
감
배
밤
대추
※ 제물 사진을 클릭하면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설 사진
1. 적 올리기 전
2. 적 올린 후
특징적 진설방식
- 조율이시를 우측에서부터 진설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조선시대 때 당쟁에 관여하지 않고 한 길만 팠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 육적, 어적, 계적을 따로 진설하며 초헌관이 육적, 아헌관이 어적, 종헌관이 계적을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