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 정보

전통문화의 어제와 오늘을 이어가면서 내일을 준비하는 종가

종가 정보

  • 진주강씨 문경공종가
  • 강맹경姜孟卿, 1410년(태종 10)~1461년(세조 7)
    • 지역이천시
    • 제례일4월

신주

고위: 顯先考祖 輸忠勁節 左翼功臣 大匡輔國 崇祿大夫 領議政府事 領 藝文春秋館 書雲觀事 世子師 晉山府院君 贈諡 文景公 府君 神主 비위: 顯考祖妣 貞敬夫人 榮川郡夫人 坡平尹氏 神主
  • 1. 신주
    1. 신주
  • 2. 신주
    2. 신주
  • 3. 사당 내부
    3. 사당 내부

홀기

집사분정

출주축

今以 顯先祖考 輸忠勁節 左翼功臣 大匡輔國 崇祿大夫 領議政府事 領 藝文春秋館 書雲觀事 世子師 晉山府院君 贈諡 文景公 府君 遠諱之辰 敢請 神主 出就 正寢
  • 1. 출주축
    1. 출주축

축문

維 歲次 戊戌 四月 丁未朔 十六日 壬戌 代孫 敢昭告于 顯先代祖考 輸忠勁節 左翼功臣 大匡輔國 崇祿大夫 領議政府事 領 藝文春秋館 書雲觀事 世子師 晉山府院君 贈諡 文景公 府君 顯先祖妣 榮川郡夫人 貞敬夫人 坡平尹氏 歲序遷易 顯先祖考 諱日復任 不勝永慕 謹以 淸酌 庶羞 恭伸奠獻 尙 饗
  • 1. 축문표지
    1. 축문표지
  • 2. 축문
    2. 축문

제사관련담론

- 문중에서 제사와 관련한 상식을 적어 놓은 것이 있어 여기에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축祝. 축은 제사 전날 일진을 보고 정성껏 기록하고 제사가 끝나면 소(태운다)한다. - 제사 전 날. 묘소를 청소하고 사당도 청소한다. - 「제상」 위(以上)를 “북”으로 제사 지내는 곳을 (下)“남”으로 오른쪽(右)을 “동”, 왼쪽을 (左) “서”로 한다. - 진설 첫 줄에는 “시저” “잔대” “뫼갱”(국밥)을 놓는다. - 둘째 줄은 “산적”, 기름적, 두부전, 갈남과 左측에 국수, 右측에 “떡”과 꿀을 놓는다. - 셋째 줄은 “탕” 줄로 우측에 “어魚탕”, 가운데 “소탕”, 좌측에 “육탕” - 넷째 줄은 나물, 자반, 간장을 놓는데, 날 것은 右, 익은 것은 左 - “포”는 左로 하되 머리쪽이 “동”으로 하며, “식혜”는 右측에 놓는다. - 다섯째 줄은 “과일”과 다식, 약과를 놓는데, “홍동백서紅東白西” 또는 “조율이시”로 놓는다. 산자, 다식 등은 가운데로 - 제사는 분향 후 잔을 부시고 재배(강신) 잔을 따라 올리고, “저”를 심고 “고축” 재배(참신), 초헌, 아헌, 종헌 후 첨작. 잔 물리고 저 지우고 재배(사신) 후 음복하고 “축”을 소각한다. - 홀기에 따라 한다.(시제 기제) - 기제는 “사망일” 자시子時(토시土時)부터 새벽 닭 울기 전까지 할 것이나, 편의상 전날 밤에 지낸다. 족보에 졸卒일은 사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