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笏記
1. 먼저 헌관(獻官)과 축관(祝官), 좌우집사(左右執事) 일동은 손을 깨끗이 씻고 각자 자기 위치로 돌아갑니다.
2. 행강신례(行降神禮)
① 초헌관 향상 전 부복(초헌관 앞으로 나오셔서 무릎을 꿇으세요.)
② 분향 (향 세 개를 피우세요. 좌집사가 도와주세요.)
③ 뇌주관지(뇌주관지는 제주를 땅에 세 번 붓는 의식입니다. 좌집사는 향상에 있는 모사잔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우집사는 제주를 따릅니다. 헌관은 읍을 하고, 모삿그릇에 강신주를 세 번에 모두 붓고 잔을 제자리에 놓으세요.)
④ 초헌관 재배
⑤ 강복위(제자리로 돌아갑니다.)
3. 행참신례(行參神禮)
① 제관 일동 재배
4. 행초헌례(行初獻禮)
① 초헌관 향상 전 부복(초헌관 앞으로 나오셔서 무릎을 꿇습니다.)
② 침주(좌집사는 제주잔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우집사는 제주를 따릅니다.)
③ 삼제우지(헌관은 제주를 퇴주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후(2/3 남김) 읍을 합니다. 좌우집사는 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립니다.)
④ 진적(우집사는 육적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헌관은 읍을 한 후 좌집사에게 건넵니다. 좌집사는 신위 앞에 올립니다.)
⑤ 계반개(좌·우집사는 메 뚜껑을 엽니다.)
⑥ 정시저(좌․우집사는 수저를 시접에 나란히 놓습니다.)
⑦ 독축(제관 일동은 부복합니다. 축관은 동향하여 무릎을 꿇고 축문을 읽습니다.)
⑧ 제관 일동 평신(제관 일동 일어납니다.)
⑨ 헌관 재배
⑩ 강복위(제자리로 돌아갑니다.)
5. 행아헌례(行亞獻禮)
① 아헌관 향상전 부복(아헌관 앞으로 나오셔서 무릎을 꿇습니다.)
② 퇴주(좌집사는 좌우측 퇴주잔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헌관은 퇴주그릇에 모두 붓습니다.
좌우집사는 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립니다.)
③ 침주(좌집사는 좌우측 제주잔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우집사는 제주를 따릅니다.)
④ 삼제우지(헌관은 좌우측 제주를 퇴주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고 읍을 합니다. 좌우집사는 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립니다.)
⑤ 진적(우집사는 계적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헌관은 읍을 한 후 좌집사에게 건넵니다. 좌집사는 신위 앞에 올립니다.)
⑥ 헌관 재배
⑦ 강복위(제자리로 돌아갑니다.)
6. 행종헌례(行終獻禮)
① 종헌관 향상 전 부복(종헌관 앞으로 나오셔서 무릎을 꿇습니다.)
② 퇴주(좌집사는 좌우측 퇴주잔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헌관은 퇴주그릇에 모두 붓습니다. 좌집사는 잔을 신위 앞에 놓습니다.)
③ 침주(좌집사는 좌우측 제주잔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우집사는 제주를 따릅니다.)
④ 삼제우지(현관은 좌우측 제주를 퇴주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후 읍을 합니다.
좌우집사는 잔을 받아 신위 앞에 올립니다.)
⑤ 진적(우집사는 어적을 헌관에게 건네고, 헌관은 읍을 한 후 좌집사에게 건넵니다. 좌집사는 신위 앞에 올립니다.)
7. 행첨작례(行添酌禮)
① 초헌관 향상 전 부복(초헌관 앞으로 나오셔서 무릎을 꿇습니다.)
② 첨작(우집사는 제주병을 헌관에게 건넵니다. 헌관은 읍을 합니다. 헌관은 좌집사에게 제주를 건넵니다. 좌집사는 신위앞에 있는 좌측과 우측 제주잔에 제주를 가득 채웁니다. 제주병을 제자리에 놓습니다.)
③ 헌관 재배
④ 강복위(제자리로 돌아갑니다.)
8. 행유식례(行侑食禮)
① 삽시(좌우집사는 메에 숟가락을 꽂되 자루는 서쪽을 향하게 합니다.)
② 제관 일동 부복 (합문)
③ 평신
④ 철갱(좌우집사는 국을 물립니다.)
⑤ 헌다(좌우집사는 숭늉을 올리고 메 세 숟갈을 슝늉에 넣습니다.)
⑥ 합반개(좌우집사는 메 뚜껑을 덮습니다.)
⑦ 낙저(시저를 시접에 내려놓는다.)
9. 행사신례(行辭神禮)
① 제관 일동 재배
② 고예성(초헌관과 축관은 서로 읍(반절)을 하고 “고예성”을 외치며 예가 끝났음을 알립니다.)
③ 음복(좌집사는 제주잔을 초헌관에게 건넵니다. 초헌관(아헌관→종헌관)은 잔을 받아 음복하고 제관 일동도 음복합니다.)
④ 철상(제물과 제주를 물립니다.)
⑤ 분축(헌관은 축문을 받아 불사릅니다.)
-
1. 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