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제물
적
○ 높이
- 약 30cm
○ 내용과 특징
- 돼지 편육을 삶아 네모나게 잘라서 제기에 놓고 위에 소고기와 닭을 올린다.
- 육적 : 소고기는 편을 떠 프라이팬에 겉만 살짝만 지져내며 피가 좀 떨어지는 상태로 제기에 괸다.
- 계적 : 닭은 내장을 꺼내고 목과 다리 끝부분을 잘라낸 다음 창호지로 목, 날개, 다리 끝부분을 감싼다. 적사지를 세 줄 꽂아 닭의 길이보다 더 길게 늘어뜨린다.
- 조리는 종부가 중심이 되고 집안의 부녀자들이 도와준다.
- 조선시대 인목대비가 시킨 대로 지금도 그 방법을 유지하고 있다.
-
1. 적
편
○ 높이
- 약 30cm
○ 내용과 특징
- 찹쌀은 세 말을 빻는다. 시루에 찹쌀가루와 거피한 녹두가루를 교차하여 몇 켜 올린 다음 찐다. 찹쌀이므로 떡이 뜨거우면 늘어져서 고이기 힘들다. 떡을 식힌 다음 편기에 고이는데 높이는 한 자 반을 하다가 지금은 한 자 정도(30cm)만 괸다. 위에는 웃기로 장식한다. 웃기는 소금을 섞어 간을 맞추어 빻은 찹쌀가루로 묽지 않게 반죽을 하여 납작하게 모양을 내어 프라이팬에서 지져낸다. 위에는 쑥 두 조각과 대추채 하나를 얹어 무늬를 낸다.
- 근래에 편은 방앗간에 주문하며 웃기는 종부의 주도하에 집안의 부녀자들이 조리한다.
- 높이는 과거 한 자 반을 했으나 지금은 한 자(30cm)만 한다. 높이 괴는 음식은 대부분 한 자에 맞춘다.
-
1. 편
-
2. 편 윗면
탕
○ 내용과 특징
- 육탕 : 갱을 끓인 다음 무, 두부, 동태, 소고기를 건져낸다. 탕기에 무를 채우고 두부와 동태를 넣고 넓게 자른 소고기를 얹는다.
- 계탕 : 갱에서 국물 없이 무, 두부, 동태를 건진 다음 탕기에 무, 두부, 동태를 넣고 위에 둥글게 자른 지단을 올린다.
- 어탕 : 무, 두부, 동태를 갱에서 건져내어 탕기에 무, 두부, 동태 순으로 넣고 위에 둥글게 자른 지단을 놓는다.
- 종부의 주도하에 집안 부녀자들이 돕는다.
- 옛날부터 해오던 방식대로 유지하고 있다.
-
1. 육탕
-
2. 어탕
-
3. 계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