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 정보
- 해주오씨 추탄종가
- 추탄 오윤겸吳允謙, 1559년(명종 14)~1636년(인조 14)
-
※ 제물 사진을 클릭하면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설 사진
-
1. 제물이동
-
2. 진설
-
3. 진적 전의 진설상
-
4. 진적 후의 진설상
특징적 진설방식
- 모사잔을 별도로 준비하여 강신례와 참신례 때 사용한다.
- 삼적을 하여 삼헌관이 헌작 후 같은 제기 위에 하나씩 올리면서 고인다.
- 적은 지차之次들이 준비해 왔다.
- 육적은 쇠고기로 하고, 계적은 닭이며, 어적은 숭어를 올린다.
- 조기는 자반이고 반찬이라 적으로 올리지 않으며, 숭어처럼 비늘이 있는 것으로 어적을 올린다.
- 적사지는 어적에만 꽂는다.
- 대추와 밤을 쌓기 위하여 특별히 고임틀을 제작했다. 종손은 몇 번의 실패 끝에 현재의 투명한 고임틀을 만들었으며 밤과 대추의 간격을 고려하여 다르게 만들었다.
- 제물을 고이고 나면 한지로 싸서 두었다가 제사 직전에 제상 위로 옮긴 후 풀어놓는다.
- 대추와 곶감에는 잣을 가지런히 박아놓는다.
- 수정과는 반찬이 아니므로 과일과 같이 가장 앞줄에 놓는다.
- 논산 가야곡에서 생산되는 가야곡왕주를 제주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