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바로가기
전통문화 사이트 바로가기
유교문화관
조선의 교육
조선의 가례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여행
조선의 전통건축
스토리 테마파크
목판 아카이브
종가제례음식 아카이브
종가 정보
제물분포지도
제례동영상
사업소개
종가 정보
전통문화의 어제와 오늘을 이어가면서 내일을 준비하는 종가
종가 정보
경주정씨 양경공종가
양성헌 정희계
鄭熙啓
, 1348년(충목왕 4)~1396년(태조 5)
지역
안성시
제례일
7월
종가안내
제례개요
제례절차
제물정보
진설도
고위(男)
비위(女)
비위(女)
시저
메
잔
탕국
메
잔
탕국
메
잔
탕국
편
육적/어적
두부전
계적
갈랍
누루미
조기
어탕
육탕
소탕
약과
포
삼색나물
간장
청포묵
물김치
식해
사탕
대추
밤
곶감
배
사과
수박
참외
산자
※ 제물 사진을 클릭하면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설 사진
1. 제상
2. 제상2
특징적 진설방식
- 육적과 어적을 같은 제기에 담아 진설하며 계적은 별도의 제기에 올린다. - 헌관들이 잔을 올린 후 진적을 하지 않고 제상을 차릴 때 전부 올려놓는다. - 나물은 삼색을 준비하지만 하나의 제기에 같이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