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 정보

전통문화의 어제와 오늘을 이어가면서 내일을 준비하는 종가

종가 정보

  • 청주한씨 문양공종가
  • 한계미韓繼美, 1421년(세종 3)~1471년(성종 2)
    • 지역고양시
    • 제례일12월

지리적·생태적
특징

문양공이 1471년 12월 23일 별세하여 1472년 12월 17일 장례를 했는데 맏아들인 공도공은 묘 아래에서 3년간 시묘살이를 했다. 이로 인해 그곳에 종가를 짓고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당시 사대부가에서는 서울에 경저가 있고 시골에 향저가 있었다. 시묘살이를 했다고 하여 이곳의 지명은 ‘시묘동’으로 불린다. 문양공 종택이 세거한 시묘동(관산1동)은 1990년대 주공아파트가 들어오기 전까지는 청주한씨가 60여 가구 거주했으나 2021년 근래에는 30여 가구가 거주한다. 종택은 옛터에 그대로 있다. 시묘동은 청주한씨 종택이 있는 ‘건너마을’ 외에도 ‘샛마을’, ‘넘엇마을’, ‘안산마을’, ‘벌마을’이라는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었다. 현재는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에 속하며 영조 31년(1755) 고양군수 이석희가 쓴 『고양군읍지』에 사리대면 관산리 시묘동으로 기록되어 있다. 1945년 해방 후에는 벽제면의 중심지역이 되었다. 문양공의 묘소는 마을 뒷산 장령산 아래에 있으며 북한산에서 발원한 공릉천이 마을 앞을 지나며 임진강과 닿아있다. 이 강줄기를 따라 경지가 분포되어 있으며 토양이 비옥하여 곡창지대를 이룬다. 개발 전에는 마을에서 수확한 농산물을 가지고 제물을 차렸는데 이곳에서는 벼농사와 고추, 녹두 등 밭작물을 재배했다. 과거에는 임진강 물이 마을 앞까지 들어와서 배를 타고 다닐 수 있었으며 몇 십 년 전에는 참개가 기어 다녔다. 장령산에서는 청주한씨가 주관하고 지역민이 함께 참여하는 산신제가 지금도 행해지고 있다.

불천위 인물

조선 개국공신 문간공 한상경韓尙敬의 손자이며 부친은 함길도관찰사를 지낸 한혜韓惠이며 모친은 양혜공 성달생成達生의 따님이다. 그의 처는 세조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언니이다. 18세에 공신의 자손으로 음보로 출사하여 승정원 동부승지, 우승지, 나주판관 등을 거쳤으며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사은사로 명나라에 갈 때 동행했고 세조 즉위 후 추충좌익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호조참판을 거쳐 안집도순찰사가 되어 평안도, 강원도, 황해도 백성을 위해 선정을 펼쳤으며 제방을 쌓고 황무지를 개관하는 등 북방개척에 공적을 세웠다. 특히 황무지를 옥토로 개관시켜 풍년이 들고 살기 좋은 고장을 만들자 백성들이 모여들고 인구도 늘어났다. 1463년(세조 9) 자헌대부로서 이조판서가 되어 군액을 정비했으며 좌찬성, 오위도총관을 거치면서 군무에도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평안도 병마수군절도사로 부임했을 때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 3등에 책록이 되고, 이조판서 등의 벼슬을 거쳐 1471년(성종 2)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1471년 51세 때 영중추부사로 소임을 다하다가 병환으로 별세했다. 성종은 문양文襄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1472년 고양군 장령산 기슭에 묻혔다. 시호에 담긴 문文은 임금에 충성하고 백성을 사랑한 공의 성품을 기린 것이며 양襄은 성실하게 공무를 수행하고 나라를 위해 공덕을 쌓은 공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국가에서는 사패지를 내리고 1472년(성종 3) 11월에 문양사를 지어 부조묘로 모시도록 하여 불천위 제사를 받들어왔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종가에서 위패를 모시다가 1980년에 문양사를 중건하여 임진왜란 때 소실된 영정을 대신해 모사하여 봉안했다. 문양공의 묘는 파평윤씨와 함께 모셔져 있다. 문양사와 종택 앞을 지나 조금 가면 묘역이 나온다. 봉분만 있던 것을 근래 후손들이 둘레돌을 놓고 그 위에 봉분을 쌓았다. 묘 앞에는 반달 모양의 꽃무늬로 장식된 지붕을 받치고 있는 묘비가 있다. 그 앞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있다. 또한 그 앞으로 1품 이상의 고관의 묘역에서만 볼 수 있는 장명등이 있다. 양옆으로는 묘소를 알려주는 상징적인 기둥 망주석이 2기 서 있다. 그 앞에 문관의 모양을 한 문인석이 있는데 조선 초기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업적과 생애를 기록하고 있는 신도비는 성종 2년에 세워졌는데 받침돌과 덮개돌은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김수온이 글을 짓고 명필 성임이 글씨를 썼다.

내림 음식

제의 장소

  • 1. 문양공사당
    1. 문양공사당
  • 2. 종택
    2. 종택